2009. 7. 10. 09:17 이슈를 말해죠~/게임



선덕여왕과 미실의 대결, 유산을 둘러싼 선한 여주인공과 악한 여주인공의 대결이 드라마 시청률상승을 주도 중이다. 게임순위에도 맞수전이 대세가 되는 것일까? ‘서든어택’과 ‘던전앤파이터’가 정전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게임 순위에도 맞수, 라이벌 전쟁이 뜨겁다. 최대 승부처가 되는 본격적인 여름방학 시장을 두고, MMORPG 최강자와 ‘국민게임’ 자리를 놓고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여기에 중국 게임까지 가세했다.

먼저 ‘아이온’과 ‘월드오브워크래프트’가 다시 한 주 만에 자리를 바꾸었다. ‘월드오브워크래프트’가다시 4위로 주저앉은 것. 7일 천하로 끝난 ‘월드오브워크래프트’의 뒷심이 아쉽다. 반면 ‘아이온’은 꾸준히 불법 프로그램 사용자를 제재하며 ‘유유자적’ 3위로 복귀했다. 지난 7월 3일, 약 66,000개에 해당하는 계정을 영구 제재했으니 현재까지 ‘아이온’에서 제재된 계정만 이미 수십 만개를 헤아린다. 웬만한 게임의 가입자 숫자를 훨씬 능가하는 숫자다.

`유유자적` 아이온이 사상최대 경품 내놓은 WOW 잡아

‘월드오브워크래프트’가 사상 최대의 경품을 내세우며, 유저 몰이에 나서는 동안에도 ‘아이온’에서는 ‘버그잡기’ 정도의 이벤트만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월드오브워크래프트’는 현재 진행 중인 ‘리치왕의 분노’ 업데이트 이후의 새로운 확장팩 발표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올 여름, 두 게임의 상반된 태도는 어떤 결과로 돌아올 지 관심이 모아진다.

국민게임 맞수 분위기는 어떨까? ‘메이플스토리’가 초등학생의 제 2의 학교가 되었다면 ‘피파 온라인2’는 이미 ‘남학생들의 교과서’와 같은 게임이 되었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 성인 직장인까지 남성 유저들의 필수 게임이 된 것. ‘메이플스토리’가 1단계 떨어진 자리를 ‘피파 온라인2’가 대신 채웠다.

메이드인차이나, 서비스 품질은 국산과 ‘안 차이나’

올 여름, 게임업계의 이슈는 ‘중국게임’이다. ‘메이드인차이나’라고 무조건 외면하던 시절은 지났다. 상용화를 거친 풍부한 콘텐츠와 “유저가 원하면 뭐든지 한다”는 중국게임의 서비스 정신은 까다롭다는 한국 게이머들의 빗장을 풀고 있다. 올해만 3개의 중국 게임이 50위권에 새롭게 등장해 자리를 잡았다.

무협게임 ‘천존협객전’이 14계단 상승한 17위를 기록했다. 서비스 2주 만에 기존 서버 4개에 새롭게 3개를 추가하며 총 7개의 서버를 운영 중이다. 이미 중국과 북미에서 정식서비스 중인 이 게임은 중국의 클라우드토드사에서 개발하고, 국내에서는 라이브플렉스가 서비스를 하고 있다. ‘촉산전’을 배경으로, 동서양의 문화가 혼재되어있는 독특한 스타일과 함께 무기강화 시스템이 인기를 얻고 있다.

▲ 올해 상반기, 국산 MMORPG들이 게임을 서비스하지 못하거나 순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풍부한 콘텐츠를 내세운 중국산 게임들의 줄지은 `약진`이 눈에 띄고 있다.

지난 2일 오픈베타테스트를 시작한 ‘심선’ 역시 1주 만에 22위로 첫 진입하는 성과를 올렸다. 중국 픽셀소프트에서 개발한 이 게임은 수백 가지 이상의 코믹한 동물 ‘탈 것’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 게임답게 편의성을 강조한 시스템과 상용화를 마친 게임의 콘텐츠로 국내 유저들을 유혹 중이다. 서비스를 맡은 CJ인터넷도 대규모 온, 오프라인 마케팅을 진행하며 뒷바라지에 적극적이다. `완미세계`에 이어 두 번째 중국 게임 서비스이며, 여기에 같은 개발사의 `주선 온라인`까지 대기 중이다.

초반 흥행 성적이 게임 성공의 보증수표는 아니다. 하지만, 국산 게임과 비교해 콘텐츠나 운영에 차이가 없다면, 유저들의 선택은 국적과 상관없이 냉정하다. ‘메이드인차이나’의 도전에 유저들의 ‘겜심’도 흔들리고 있다.

온라인 게임을 즐겨하는 편은 아니지만 온라인게임이 우리나라가 거의 최고수준이여서 한창 수출도 많이하고 잘나가는데 이제 서서히 중국이 온라인게임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네요. 어떤 분야든 서서히 중국이 점령해가는 느낌? 이제 엄청난 중국산 게임들이 몰려올텐데 우리나라 온라인 게임계에선 어떻게 대처를 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